내년도 최저임금 인상안이 확정되자 민주노총 대구본부는 즉각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신은정 민주노총 대구본부 수석부본부장은 "물가 상승과 주거비 급등에도 턱없이 부족한 인상"이라며 "여전히 저임금 노동자의 기본적인 생활조차 보장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또 "물가를 보면 라면값이 6% 올랐는데, 최저임금은 그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2.9% 인상에 그쳤다. 사실상 '마이너스 임금'"이라고 했다.
정덕화 대구경영자총협회 상무이사는 "대구·경북은 자영업자 비율이 높아 이번 인상이 한계 경영 사업장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이라며 "사용자 측에서는 동결과 업종별·규모별 구분 적용을 강력히 요구했지만, 이번에도 전혀 채택되지 않아 매우 유감스럽다. 지역 소상공인들이 인건비를 감당하지 못해 고용을 줄이거나 폐업하는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과거 최저임금 16.5% 대폭 인상 사례처럼, 보호하고자 했던 노동자들이 오히려 일자리 축소 피해를 입는 상황이 재현될까 걱정된다"고 했다.
대구 달서구에서 4년째 작은 카페를 운영하는 김경자(54)씨는 "매년 직원들 월급만 해도 매달 20만~30만원씩 늘어나는데, 배달앱 수수료와 전기요금까지 다 올라 더는 혼자 버티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이어 "지금도 인건비를 메꾸려 야간에도 가족들을 동원해 24시간 영업 중인데, 앞으로 얼마나 버틸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했다.
편의점을 운영하는 황모(42)씨도 "야간근무를 아르바이트생에게 맡기는데 시급이 올라가면 야간수당까지 부담이 늘어난다"며 "아마 우리 가게뿐 아니라 인근 편의점들도 다 비슷한 사정일 거다. 대부분 사장들이 야간에 직접 나서야 할 형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