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형준 부산시장이 8일 지역 주도의 노후 신도시 정비 계획안을 발표했다.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북구(금곡·화명)와 해운대구(좌동)의 노후 신도시 정비 계획을 내놨다.
주택 공급에 초점을 맞춘 정부 주도 개발 대신 삶의 질을 끌어올리는 지방자치단체 주도 개발 사업을 전국에서 처음으로 시도한다.
부산시는 노후계획도시정비 기본계획안을 마련해 오는 30일까지 화명·금곡 신도시와 해운대1·2 도시 정비 공람을 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계획안은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과 국토교통부의 ‘노후계획도시 정비 기본방침’에 따른 것이다.
부산시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노후 신도시 개발 방침을 국토연구원 등 관계 기관에 자문해 직접 수립했다.
주택 공급에 초점을 맞추던 1990년대 초반 정부 주도 개발 방식의 한계를 극복한다는 계획이다.
1단계 사업으로 화명·금곡 및 해운대1·2 구역을 우선 추진하고, 나머지 지구(다대, 만덕, 모라, 개금·당감)는 2단계 사업으로 속도감 있게 추진할 방침이다.

화명·금곡지구(2.71㎢)는 금곡주공아파트 등 21곳을 특별정비예정구역으로 제시했다.
지역 특화 거점을 육성하고, 철도로 단절된 강과 주거단지를 연결하는 ‘그린블루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해운대1·2지구(3.05㎢)는 육군 53사단 이전과 맞물려 개발이 이뤄질 전망이다.
주택단지 등 총 17곳을 특별정비예정구역으로 발표하고 ‘복원력’을 도시 개발의 핵심 개념으로 삼았다.
해운대해수욕장과 자율주행 버스로 연결하고, 사이언스파크 조성이 예정된 53사단 부지를 중심으로 ‘미래도시활력축’을 조성해 주거와 상업 기능이 어우러진 공간으로 개발한다는 구상이다.
230~250% 수준이던 두 사업지의 기준 용적률은 약 350%로 올렸다.
선도지구 선정 규모는 정비 예정 물량의 10% 수준으로 화명·금곡 2500가구, 해운대 3200가구다.
사업 추진과 동시에 부산시는 다대동 등 2단계 노후계획도시 대상지의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한다.
20년 넘은 100만㎡ 이상 택지개발지구가 대상이며, 100만㎡ 미만인 지구는 기초지자체와 협의해 기본계획을 수립한다.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분야별 전문가로 자문단을 구성해 전문성과 객관성을 강화하고, ‘찾아가는 미래도시지원센터’를 운영해 지역주민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할 예정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주택 공급 중심으로 이뤄진 1기 신도시의 대대적인 정비에 나설 것”이라며 “강과 산, 바다 등 자연조건과 신도시 기능을 고려한 새로운 개발 모델을 구축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55189